추천 미디어

도서성경과 정의 성경의 문학비평(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31)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5-09-24 조회수 : 50


성경과 정의 성경의 문학비평(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31)




지은이: 캐롤 J. 뎀프시 , 장 프랑수아 라신 , 지나 헨즈 피아자

옮긴이: 김건동 신부

출판사: 성서와함께

출간: 2025-09-09

페이지: 208

제본형태: 반양장

판형: 15.2*22.5cm

ISBN-13: 9788976354570



‘온 세상 땅끝까지’ 하느님 말씀을 충실히 전해 온 ‘성서와함께’의 50주년 기념 프로젝트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시리즈 제31권 《성경과 정의·성경의 문학비평》이 독자 여러분과 만납니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는 2022년 출간된 The Jerome Bible Commentar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Third Fully Revised Edition의 한국어판으로, 총 33권(성경 입문 3권, 구약성경 14권, 신약성경 11권, 주제별 논문 5권)으로 나누어 출간된다.


‘성서와함께’의 희년을 맞아 한국 교회에 내놓는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를 통해 많은 그리스도인이 성경 말씀을 가까이하고, 그 말씀을 바르게 알아듣고 마음에 새겨, 진정한 하느님의 백성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는
첫째, 가톨릭교회의 성서학자들이 교회의 성경 해석 전통을 존중하며 쓴 책이다.
둘째, 가톨릭교회의 성경 73권 전체의 주해와 관련 주제들을 포괄적으로 담았다.
셋째, 성경에 관심이 있는 모든 교회 구성원이 볼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되었다.

넷째, 성경 각 권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성서학의 최근 연구 결과가 반영된 최신판이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제31권은 ‘성경과 정의’와 ‘성경의 문학비평’으로 구성된다.

 

이 책에 실린 논문 두 편은 성경과 현대 사회의 대화, 그리고 성경 본문이 현실 사회에 참여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다룬다. 독자에 따라 이러한 논의가 생소하거나 불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성경은 유다교·그리스도교만의 유산이 아니라 인류 전체의 유산이며 다양한 해석은 성경을 ‘살아 있는 글’로 만든다. 이 책이 제시한 성경 비평 이론들은 성경을 단순한 종교 문서가 아니라 문학적·사회적인 텍스트로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책 속으로


의미는 어떤 렌즈를 통해 해석되고, 누구의 의미가 ‘올바르고’ ‘타당한’ 것으로 여겨지는가? 독자들은 성경을 통해 정의에 대해 무엇을 배우는가? 현재의 세계화된 세상의 맥락에서 성경 본문을 읽을 때에 전면으로 드러나는 불의와 억압은 어떤 면모를 지니고 있는가? 권력을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는 누구인가? 누가 발언권을 지니고, 누가 침묵하며, 누가 지워지는가? 우리는 본문을 변방인의 관점으로, 변방인과 함께 읽고 있는가, 아니면 특권을 누리는 자리에서 읽고 있는가? 정의의 관점에서 성경을 읽는 것이 오늘날 세상에 필요한 정의를 위한 활동을 하도록 어떻게 우리를 이끄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정의와 성경에 관한 주제를 다루는 이 글의 중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_34~35쪽

 

19세기 이후로, 성서학자들은 역사비평적 접근을 성경 본문을 소화하는 중심 접근법으로 삼아 왔다. 이 접근법은 해석자 자신이 처한 사회적 상황이나 그들의 해석 및 편견들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독자와 본문 사이에 단절이 생길 수 있으며 현대의 세계화된 세상의 관점에서 성경을 읽는 데 부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다.

_041쪽

 

이 글은 현대의 학자들과 해석학적 접근법들을 탐구하면서, 시대의 징표 중 몇몇을 강조하고, 정의를 지향하며 성경을 어떻게 접해야 하는지에 관한 질문들을 제기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 장소와 신앙과 비신앙적 관점을 포함하여 여러 관점을 가진 전 세계의 공동체들이 성경을 읽고, 듣고, 해석하는 방식에 대하여 우리 모두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고 초대한다. 성경은 오늘날 세계에서 펼쳐지는 하느님의 신비와 정의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가 성경과 삶의 텍스트를 ‘결을 거슬러’, 텍스트 앞의 세계에서, 그리고 주변부로부터/주변부와 함께, 비판적이고 맥락적으로 읽을 때, 온 세상 피조물만이 아니라 하느님을 위해서도 정의는 이루어질 것이다.

_142쪽

 

이야기의 형성에 앞서는 텍스트와 독자의 관점이 만들어 내는 ‘텍스트’는 모두 상호텍스트적 해석에 참여하게 된다. 여러 가지 면에서 상호텍스트성은 성경 본문의 형성과 수용 과정 모두에 작용하는 다양한 영향들을 인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텍스트가 형성되는 중에는 기존의 전승, 사회적 규범, 문화적 산물, 관습 등이 모두 텍스트에 자국을 남긴다. 이야기의 수용에서는 독자가 접한 예술, 영화, 성인聖人들의 삶, 친구들의 신앙 증언, 문화적 가치 등이 촘촘히 짜여서 그의 상호텍스트intertext를 이룬다.

_175~176쪽

 

문학적 분석은 역사비평 연구의 성과를 배가할 수 있으며, 때로는 이 본문들을 낳은 세계를 드러내어 그 연구에 보탬이 되기도 한다. 특히 잠언과 같은 경우에는 시대적 맥락을 재구성하기 어렵고 편집의 역사 또한 명확히 정의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저자, 저술 연대, 배경, 출전 등에 대해 비교적 확실한 정보가 있는 본문조차도, 이러한 주장 대부분에는 항상 불확실성의 그림자가 따라다닐 것이다. 논쟁이나 의심이 끊이지 않는 근거에 의존하지 않는 접근법이야말로 믿을 만한 해석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문학비평은 많은 성경 본문의 본질에 잘 부합하는 접근 방식이다.

_195쪽



목차 

서문

여는 말
추천의 말
한국어판 여는 말
일러두기
성경과 정의
1.입문
2.성경, 문화, 정의
3.정의를 위하여 ‘본문과 함께’ 읽기
3.1. 히브리 성경과 오경에 나오는 정의: 개관
3.2. ‘옳고 정의로운 것을 행하라’: 정의와 예언서
3.2.1. “공정을 추구하고, 억압받는 이를 보살펴라”: 이사야서
3.2.2. “공정과 정의를 실천하고”: 예레미야서
3.2.3. “폭력과 억압을 치워 버리고, 공정과 정의를 실천하여라”: 에제키엘서
3.2.4. “다만 공정을 물처럼 흐르게 하고”: 소예언서
3.3. “가난한 이에게 귀를 기울이고”: 정의와 지혜문학
3.4. 복음 선포의 본질적 요소로서의 정의: 루카복음과 마태오복음
4.21세기 세계화된 세상에서 정의를 찾아 성경 읽기: 새로운 관점들
5.정의를 위하여 ‘결을 거슬러’ 성경 읽기
5.1. 생태적 정의 (Ecological Justice)
5.2. 젠더 정의 (Gender Justice)
5.3. 재생산 정의 (Reproductive Justice)
5.4. 인종 정의 (Racial Justice)
5.5. 계급과 경제 정의 (Class and Economic Justice)
5.6. 장애에 관련된 정의 (Disability Justice)
5.7. 지정학적 정의 (Geopolitical Justice)
5.8. 연령 차별에 관련한 정의 (Ageism Justice)
5.9. 종교 간 정의 (Interreligious Justice)
6.정의의 하느님을 탈식민화하기
7.결론
참고 문헌
성경의 문학비평
입문
문학적 접근법들
문학적 비평의 장단점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지은이: 캐롤 J. 뎀프시
Carol J. Dempsey, O.P.
포틀랜드 대학교 성서학 교수이자 성경 본문에 대한 여성주의 접근, 젠더 연구, 문학 및 수사 비평, 환경/생태학 연구 분야의 전문가로 The Wisdom Commentary Series, Catholic Biblical Quarterly, Old Testament Abstracts 등의 편집위원이다.
지은이: 장 프랑수아 라신
Jean François Racine
산타클라라 예수회 신학 대학교 명예교수로 본문비평, 성경 미학, 외경 문헌 등 신약성경 연구 분야에 헌신했다. Beauty and the Bible: Toward a Hermeneutics of Biblical Aesthetics(2013), Dreams and Visions in the Bible and Related Literature(2023) 등의 공동 저자이다.
지은이: 지나 헨즈 피아자
Gina Hens Piazza
산타클라라 예수회 신학 대학교 구약학 교수로 예언서, 성경의 문학 및 문화적 접근과 여성주의 연구와 관련된 교수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The Supporting Cast of the Bible - Reading on Behalf of the Multitude(2020) 등을 저술했으며 Oxford Commentary Series in Old Testament의 편집위원이다.
옮긴이: 김건동 신부
예수회 소속 사제로 로마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뮌헨대학교 가톨릭신학부에서 신약주석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